[AWS]EC2 - S3 비용절감을 위한 안티패턴 개선
0.개요
실무에서 자주 활용하는 AWS의 비용절감은 서비스의 규모가 커질 수록 중요하게 된다.
오늘은 aws 요금정책의 기본 원칙을 알아보고 안티패턴을 피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작성하려한다.
1. 기본원칙
1-1 private subnet끼리의 데이터 전송
다른 가용 영역에서의 private subnet끼리의 데이터 전송은 들어오고 나올때 1cent를 지불하게 된다. 총 2센트
1-2 cdn cloud front
cdn cloud front
s3에서 cloud front 까지 전송비용 무료
cloud front에서 인터넷으로 전송은 12 cent
인터넷에서 cloud front까지 무료
cloud front에서 s3까지 6 cent
1-3 public ec2 to public ec2
같은 가용리전에서 public ec2 to public ec2 간의 통신 -> 1 + 1 cent
1-4 예시 4
vpc peering을 사용하면 같은 가용영역을 사용하면 0 cent
다른 가용영역을 사용하면 I/O 비용 각 1cent
1-5 Treansit Gateway
Treansit Gateway
2 cent 비용
1-6 Gateway endpoint + (s3 dynamoDB) 는 혜자 
ec2 앞단에 gateway를 두고 s3 dynamoDB를 두었을때 무료. 혜자?..라는 표현을 썼다
1-7 privatelink
s3나 dynamoDB등을 사용하지 않을때는 privatelink를 활용하고 이 경우에 1cent 비용이 듬
2. 안티패턴
2-1. 예시 1
NAT GATEWAY를 통과하는 비용 5.9 cent
NAT GATEWAY와 S3 통신 비용 무료
2-2 예시2
비용절약을 이유로 NAT GATEWAY를 1개만 두었다면?
I/O 비용 각 1CENT + NAT GATEWAY 5.9 CENT 비용
2-3 좋은 사례
gateway endpoint를 중간에 두면 s3 비용이 무료가 된다.
2-4 안티패턴 3
public ip i/o 각 1cent + 5.9 cent로 총 7.9 cent의 비용이 든다.
2-5 모범사례
같은 가용영역 안에서, public이 아니라 private ip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수정한다.
3. 추가 고려사항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5Iyaeam3B1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