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키마/페이로드/필드TIL 2023. 2. 12. 15:08
스키마
-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이다.
-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및 데이터 조작 시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정의한다.
-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나눠진다.
스키마의 특징
-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에 저장되며, 다른 이름으로 메타데이터라고도 한다.
- 스키마는 현실 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서 만들어진다.
- 스키마는 시간에 따라 불변인 특성을 갖는다.
-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며,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된다.
페이로드
페이로드(payload)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헤더와 메타데이터, 에러 체크 비트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보내어, 데이터 전송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히게 됩니다. 이 때,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바로 페이로드입니다. 우리가 택배 배송을 보내고 받을 때, 택배 물건이 페이로드이고, 송장이나 박스, 뾱뾱이와 같은 완충재 등등은 부가적인 것이기 때문에 페이로드가 아닙니다.
페이로드(payload)라는 단어는 운송업에서 비롯하였는데, 지급(pay)해야 하는 적화물(load)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유조선 트럭이 20톤의 기름을 운반한다면 트럭의 총 무게는 차체, 운전자 등의 무게 때문에 그것보다 더 될 것이다. 이 모든 무게를 운송하는데 비용이 들지만, 고객은 오직 기름의 무게만을 지급(pay)하게 된다. 그래서 ‘pay-load’란 말이 나온 것이다
json으로 보는 실제 데이터에서의 payload는 아래의 json에서 “data”입니다. 그 이외의 데이터들은 전부 통신을 하는데 있어 용이하게 해주는 부차적인 정보들입니다.
{ "status" : "from": "localhost", "to": "http://melonicedlatte.com/chatroom/1", "method": "GET", "data":{ "message" : "There is a cutty dog!" } }
필드 (데이터베이스)
<참고>
페이로드 (컴퓨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이로드(영어: payload)는 사용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뜻한다. 페이로드는 전송의 근본적인 목적이 되는 데이터의 일부분으로 그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ko.wikipedia.org
필드 (데이터베이스) - 해시넷
필드(field)란 데이터베이스에서 세로 방향으로 표시한 컬럼(Column)을 말한다. 열(列)이라고도 한다. 필드는 DB Table에서 가로로 표시한 레코드 (Record)에 대한 개별적인 속성값을 표시한다. DB 필드라
wiki.hash.kr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정 포트 막혀있을 때 해결 방법 (1) 2023.02.27 FeignClient vs RestTemplate (1) 2023.02.13 스프링의 이해 : 동시성 문제와 ThreadLocal 처리 (0) 2023.01.30 Rabbitmq window에서 실행 안될 때 해결방법 (0) 2023.01.25 GraphQl with Java example (1) 2023.01.24